redniche/Neural-Number-Recognition 프로젝트 깃허브 링크 소개 정사각형 데이터패턴으로 이루어진 숫자를 인식하는 다층 퍼셉트론 기반 신경망입니다. 숫자가 아니어도 패턴을 유추해낼 수 있습니다. 학습과 질의를 위해 MNIST 데이터셋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학생 때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기는 것을 보고 AI 기술이 ...
신경망 숫자 인식기
고교 창원대학교 연계 악보인식 R&E 프로젝트
프로젝트 기술스택 개발 IDE 언어 활용 라이브러리 고등학교 제가 2012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3년간 신세를 진 고등학교입니다. 진해에 있는 고등학교인데 진짜 열심히 가르칩니다. 진고 다만 같이 입학한 학생들이 이미 서로 친한 경우(중학교-고등학교...
Git 커밋 기록 유지하고 옮기기
GitHub, GitLab 등 서로 옮기기도 가능 일반적인 옮기기 Bare 클론 git clone --bare 해당깃링크 cd 클론된 깃 폴더 옮길 리포지토리에 푸시 git push --mirror 옮길 리포지토리 깃 링크 100MB 이상의 파일이 존재할경우 (Git LFS Storage 사용. 비과금시 1GB제한) ...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한 방법론
익명의 시니어 분이 제공해주셨습니다 목차 1 - 문제 해결 방법 3가지 실용적으로 문제 해결하기 공용코드 만들기 코드의 생김새 다듬기 사용자를 위한 코드 짜기 도구를 만들고 개선하기 자동화 하기 질 좋은 문서 남기기 관계 쌓기...
블록체인 [이더리움을 통해 맛보기] (4)
좀 더 어려운 스마트 컨트랙 직접 만들어보기 (feat. Chainlink) 지난 포스트에서 스마트 컨트랙을 Solidity로 작성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엔 좀 더 구체적인 기능들이 있는 스마트 컨트랙을 작성하는 것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앞으로 이 포스트 및 이외의 여러 스마트컨트랙 작성을 위해 꼭 필요한 배경지식을 잠깐 설명...
블록체인 [이더리움을 통해 맛보기] (3)
솔리디티 (Solidity) 지난 포스트에선 Remix IDE에서 솔리디티 예제 파일을 컴파일 하고 배포하는 것을 해 보았습니다. 오늘 할 것은 앞서 한 것들을 바탕으로 실제로 솔리디티를 배우고 소스를 코딩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입니다. 솔리디티의 구조 지난 사용했었던 예제 .sol 파일을 라인별로 분석해 솔리디티의 기본 구조를 알아봅시다....
프로그래머스 Level2 카카오프렌즈 컬러링북 풀이
카카오 프렌즈 컬러링북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29 본 게시글은 본 저작자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동일 유형의 가상의 문제를 만들어 풀이합니다. bfs라는 알고리즘 자체에 대한 저작권은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않으며 문제에 표현된 생각이나 감정은 모두 제가 생각한...
블록체인 [이더리움을 통해 맛보기] (2)
스마트 컨트랙(Smart Contract)이란? 1990년대에 Nick Szabo가 소개한 개념으로 기존의 문서 계약을 디지털 형식으로 바꾼 것입니다. 디지털 형식으로 명시된 서약(commitment)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음! 전혀 스마트하지 않아서 다소 잘못된 용어지만 자리잡음 블록체인에서의 정의 불변의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
블록체인 [이더리움을 통해 맛보기] (1)
1. 이더리움, 트랜잭션 우리의 목적은 빠르게 이더리움을 이해하고 실사용을 해보는 것입니다. 이더리움은 온라인상에서 인터넷으로 이어진 노드들로(여러 컴퓨터) 유지되고 있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라 생각하면 되는데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종류들의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란? 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