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경제 최근 경제용어 요약정리, 은행용어
포스트
취소

최근 경제용어 요약정리, 은행용어

  •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경제용어 700선에서 해설을 제외하고 단어만 가져왔습니다.
  • 간단한 해설은 그냥 제가 기억하기 쉽게 적어놓은 것인데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금융권을 준비하다 필요할 수도 있어보이는 키워드만 생각해보려고 했는데 한국은행은 아무래도 특수법인인 공기업이다보니 시중은행의 용어와는 괴리감이 있는 듯 합니다.
  • 그래서 앞으론 필요 없는 용어들은 지우고 다음 게시글에선 금융권 개발자에게 필요한 용어를 적기로 했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 HDRI

  • 원리금상환비율DSR, 부채/자산비율을 결합해 산출한 지수DTA 로 산출한 지수
  • 100이 넘으면 위험가구

가계수지

  • 일정 기간동안 수입에서 지출을 뺀 값
  • 통계청에서 통계를 냄

가계순저축률

  • 순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

가계신용통계

  • 가계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규모를 나타내는 통계
  •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분됨

가계처분가능소득 PDI

  • 가계가 맘대로 쓸 수 있는 소득
  • 생활수준지표

가교은행

  • 청산 대상 금융기관 자산과 부채를 임시로 넘겨받고 업무를 대행, 합병, 채무관계 조정 등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은행
  • 금융기관이 파산한 경우

가동률

  • 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
  •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로 이용되는지 나타내는 지표(현재 생산능력/최대 생산능력)

가변예치의무제도

  • 경제 안정을 위해 외국으로부터 유입된 자금을 일정비율 예치하는 의무를 부과함
  • 환율과 증권가격의 급등락을 막음, 한국은행과 외국환평형기금이 6개월 범위로만 행사가능함

가산금리

  • 기준금리에 신용도 차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
  •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를 추가함, 0.5%의 금리 격차를 50bp라 표기함

가상통화

  • 민간에서 블록체인을 기반 기술로 하여 유통되는 가치의 전자적 표시
  • 비트코인이 대표임

가상통화공개 ICO

  • 혁신적인 신생기업이 암호화폐 또는 디지털 토큰을 이용해 자금을 조달하는 크라우드펀딩의 일종
  • 기업공개(IPO)에서 연유되었다, 우리나라에선 금지하고 있다.

간접금융/직접금융

  • 자금 잉여주체와 자금 부족주체의 사이에 금융기관이 개입해 자금을 중개하는 방식이 간접금융
  • 주식 채권 발행과 같이 자금수요자가 금융시장에서 직접 필요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직접금융

간접세/직접세

  • 납세의무자가 세금을 부담하는 조세부담자와 일치하면 직접세, 아니면 간접세다
  •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부동산세가 직접세,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증권거래세 등이 간접세다. 간접세는 누진세가 불가능해 불공평하다

감독자협의회

  • 다국적 금융기관들의 대해 효과적인 규제 감독을 하기 위해 본점 및 지점 진출국의 감독 당국들로 구성된 정보공유 및 감독협력 협의체

감응도계수

  •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씩 증가했을 때 생산물의 생산유발 정도를 전산업 평균으로 나누어 구함
  • 석유정제와 같이 산업 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쓰이는 산업일수록 감응도 계수가 큼

거시건전성 정책

  • 경제전체의 금융안정을 위해 시스템리스크를 억제하는 정책
  • 선제적 대응, 금융불균형 축적 억제, 되돌림 현상 완화, 복원력 강화 등이 있다.

거액결제시스템

  • 금융기관간 콜거래, 증권 또는 외환매매 등 거액거래에 따른 대금결제를 다룬다
  • 거액의 자금이체를 고객을 대신해서 이루어지는 자금이체시스템을 말함, 우리나라는 한은금융망

거액익스포저 규제

  • 특정 차주(빌린사람)의 신용공여(융자액)가 과대한 경우 감독당국이 편중리스크를 관리한다
  • 우리나라는 은행법상 동일인 동일차주 신용공여 한도 제도로 편중리스크를 관리한다

결제

  • 경제주체가 자금거래나 금융자산 거래를 한 후 청산과정으로 최종 확정된 금액 또는 증권을 이전해 법적인 채권 채무를 종결시키는 과정

결제 리스크

  • 예기치 못한 사정으로 결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나 이를 통한 손실 가능성
  • 신용리스크, 유동성리스크, 운영리스크, 법률리스크, 시스템리스크 등이 있다

결제부족자금 공동부담제

  • 참가기관의 결제불이행에 따른 미결제채무를 여타 참가기관들이 공동분담해 결제 종료성을 확보하는 방안, 지급결제시스템의 붕괴를 막음
  • 생존기관이 결제이행 재원을 부담한다는 점에서 생존자 분담방식이라고도 함 ↔ 채무불이행자 부담

결제완결성

  • 어떠한 상황이나 법률에 의해서도 취소되거나 무효화되지 않고 해당 지급결제시스템의 운영 규칙에 따라 무조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
  •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가 제정한 국제기준에도 규정되어 있다.

겸업주의/전업주의

  • 겸업주의는 한 금융회사가 은행,증권,보험 등 여러 금융서비스를 취급함
  • 전업주의는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이 각각 해당하는 고유의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방식임

경기

  • 경제적인 형편을 뜻하는 말, 호황기→후퇴기→불황기→회복기→호황기가 끊임없이 반복된다
  • 생산, 투자, 고용, 수출 등 경제지표를 분석하거나 종합경기지표로 판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경기동향지수 경기확산지수

  • 경기 변동의 진폭이나 속도 없이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지표, 50보다 크면 확장국면 50보다 작으면 수축국면이라고 한다
  • 선행 동행 후행지수로 작성되며 10개의 대표 지표 중 차지한 지표 수 비율로 계산한다

경기순응성

  • 경제주체의 위험인식 및 행위, 금융의 제도 및 규제 등의 효과가 경기변동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 불경기엔 대출심사가 까다로워져 더욱 불경기를 부추기는 것 등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 경기가 지나친 확장 또는 수축 현상에서 정상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정책당국이 취하는 제반 조치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등을 이용한다

경기종합지수 CI

  • 개별경제지표들을 가공 및 합성해 작성한다
  •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구분된다

경상수지

  •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내는 수지(수입과 수출의 차액)
  •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됨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 경영실태를 평가하고 등급평가 결과에 따라 감독-검사 업무를 차등화함으로써 금융기관의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하고자 함
  • 본점 및 현지법인, 외은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은, 특수은행을 별도 시스템으로 평가함. 각각 카멜알(CAMEL-R), 로카(ROCA), 카크렐(CACREL)

경영지도비율

  • 금융기관들은 예금자보호를 목적으로 자기자본비율, 원화유동성비율 등의 경영지도비율을 정하여 운용됨
  • 충족하지 않으면 금융위원회가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명령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경영평가지표

  • 현지 은행에선 계량지표의 4개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13개 지표를 이용한다
  • 비계량평가항목은 6개 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의 적정성, 수익성, 유동성, 리스크 관리) 29개 항목을 이용한다

경제성장률

  • 금년 실질 GDP에서 전년 실질 GDP를 나누고 1을 뺀 값에 100을 곱한 비율이다.
  • 대부분의 경우 실질 GDP의 증가율을 뜻한다

경제심리지수

  • 기업가와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작성한 지표
  •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와 이 둘을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가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 유럽경제협력기구 18개국과 미국 캐나다 등 20개의 선진국이 설립한 국제기구
  • 2022년 말 38개국이 회원으로 가입중이다.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

  • 군인과 재소자를 제외한 15세 이상을 노동가능인구며 능력과 취업의사가 있는 사람이 경제활동인구다. 실업자도 경제활동인구에 포함한다
  • 노동가능인구에 대한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을 경제활동참가율이라 한다

경제후생지표

  • 국민총소득(GNI)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국민총소득에 후생요소를 추가로 작성한다
  • 후생 및 비후생 요소의 수량화가 어려워 잘 사용되지 않는다

경직적 물가지수

  • 대표적으로 정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공공서비스들이 경직적 물가를 형성하는 품목들이다
  • 경기에 따라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물가가 신축적 물가지수다

계절변동조정시계열

  • 경제의 움직임을 일정기간 수준으로 통계를 수집한 것을 시계열이라고 하고 경제분석은 수준보단 변동을 대상으로 한다
  • 기후나 명절 등과 같은 사회적 관습은 매년 반복되는 특성이 있다 이 변동요인을 시계열에서 제거한 것을 계절변동조정시계열이라고 한다. 연간 시계열에는 적용되지 않음

계정계

  • 본연의 금융 업무 처리 시스템이자 고객의 거래 데이터 자체를 다룸
  • 계좌 개설 및 패쇄, 수신 여신 등

계좌대체

  • 중앙예탁기관에 계좌를 설정한 계좌 설정자간의 유가증권 수수를 실물증권의 인수도 대신 계좌간 대체하는 방식으로 장부상 처리하는 것을 의미함
  • 증권의 대량거래와 잦은 소유자 변동을 대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고객확인절차 KYC

  • 고객의 신원을 식별하고 확인하는 업무절차
  • 금융업무절차나 자금세탁방지 규제에서 자주 거론되며 범죄에 은행이 이용되는 것을 예방한다

고용률

  • 15세 이상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 최종수요의 발생이 생산을 유발 생산이 다시 노동수요를 유발하는 파급 매커니즘에 기초해 최종수요와 노동유발을 연결시켜 분석함. 노동계수와 산업연관표의 생산유발계수를 곱해 노동유발계수를 이용함
  • 노동계수에 고용계수를 이용하면 고용유발계수, 취업계수를 이용하면 취업유발계수라고 함

그램-리치-블라일리법

  • 겸업주의를 못하게 하는 것을 부순 것
  •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이 겸직하는 것을 막는 것을 폐지했다

글래스-스티걸법

  • 겸업주의를 못하게 하는 것

금융의 탈중개화

  • 핀테크의 발달에 따라 금융업의 분화 현상이 심화됨
  • 금융서비스가 기존 금융시스템과 분리되는 움직임(블록체인, P2P대출 등)

금융의 탈집중화

  • 블록체인, 모바일네트워크를 통해 더 싼 수수료로 직접 송금하는 핀테크 업체가 등장함에 따라 기존 대형 금융기관들이 수수료를 낮추거나 핀테크를 활용해 더 혁신적인 해외송금 방식을 모색하는 계기가 됨
  • 금융 분야별로 서비스 공급자의 수를 증가시킴

기업 개인간B2C 지급결제시스템

  • 인터넷쇼핑몰 등 전자상거래에서 이루어지는 판매자 및 구매자간의 소액결제에 이용되는 지급결제시스템을 통칭하는 용어

대기성 여수신제도

  • 차입기관의 자금사정이나 자금용도 등에 대한 제한 없이 단기자금을 제공하되 시장금리보다 높은 벌칙성 금리로 제공하는 담보대출제도
  • 국내에선 금융기관들만 할 수 있다

대안정기

  • 변동성이 적어 경제가 안정적이었던 시기

래퍼곡선

  • 세율이 계속 올라도 세수 자체가 줄어들어 결국 최종적인 세수의 양은 줄어드는 현상을 보여주는 곡선

레그테크

  • 금융업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정보기술과 규제를 결합해 규제관련 요구사항 및 절차를 향상시키는 기술 또는 회사
  • 일종의 핀테크이며 수작업의 자동화, 데이터 자동분석, 데이터 품질 개선, 전체적인 시각의 창출, 절차관련 앱에 의한 데이터 자동 분석, 핵심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 및 규제당국 송부용 보고서 생산 등에 초점을 맞춘다

리디노미네이션

  • 화폐단위를 바꿈

마샬의 k

  • 경제 전체의 명목소득 대비 통화량 보유 비율

마이크로 크레디트

  • 빈곤계층에 대한 소액 대출사업
  • 무하마드 유누스: 방글라데시의 조브라 마을이란 농촌에서 빈민층이 게으른게 아니라 소액의 초기자금이 부족한 것

마찰적 실업

  • 새로운 일자리 구할 때 생기는 실업

매출액영업이익률

  • (영업손익/매출액) * 100

무디스

  • 세계 3대 국제신용평가기관

뮤추얼펀드

  •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투자 회사를 설립해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에 투자한 후 운용수익을 배당금으로 나누어주는 투자신탁회사

바이오인증

  • 개인마다 구별해서 측정할 수 있는 고유 생체정보를 자동화 장치로 추출해 보유하고 인증하는 기술
  • 별도의 보관 및 암기가 불필요하고, 분실우려가 적고 도용 양도가 어렵다는 장점이 있어 비밀번호 공인인증서를 대체하여 금융 거래에서도 최근 자주 쓰이고 있다.

방카슈랑스

  • 은행과 보험사가 연결되어 폭넓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은행과 보험상품을 조합해 효율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한다

밴드웨건효과

  • 유행을 따라가는 효과

범위의 경제

  • 여러 제품을 한 기업이 생산하는 것이 개별 기업이 한 종류만 생산하는 것

베블런효과

  • 사치품 등처럼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올라가는 재화를 베블런재라 부른다

변동금리

  • CD금리(시장금리)에 따라 금리가 변하는 금리

보완재

  • 두 개 이상의 재화가 함께 사용되면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
  • 승요차와 휘발유,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등

보통주자본

  • 보통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등

본원소득

  • 피용자보수+영업잉여+순생산및수입세+순재산소득

본원소득수지

  • 금료 및 임금과 투자소득으로 구분됨

본원통화

  • 일차적으로 중앙은행의 창구를 통해 공급됨
  • 중앙은행이 증권을 매입하거나 금융기관에 대출을 실시하면 본원통화가 증가함

분산원장기술

  • 중앙집중형 시스템이 아니라 공유네트워크에 거래정보를 분산시킴
  • 이를 다수 참여자가 거래내역이 기록된 원장 전체를 분산 보관하고 거래할 때마다 이를 검증하고 갱신하는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해 위조와 변조를 막는다.

블록체인

  • 분산원장기술에 사용되는 기반기술
  • 일정시간동안 발생한 모든 거래정보를 블록 단위로 기록하고 모든 구성원에게 전송 블록의 유효성이 확보되면 새 블록을 기존의 블록에 추가 연결하여 보관하는 알고리즘임
  • 각 블록은 이전 블록에 대한 연결자인 해시포인터, 시간표시 및 거래데이터를 포함함

블록체인과 탈중앙화

  • 데이터의 중앙 집중 보관에 따르는 리스크를 제거함
  • 블록체인을 통해 더 큰 데이터를 운용하려면 더 비싼 컴퓨터 자원이 필요하다, 검증 참여자가 늘어날수록 보안은 강화되지만 더더욱 비용이 비싸짐

빅데이터

  • 복잡하고 다양한 데이터세트들과 이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
  • 5V 대량, 초고속, 고다양성, 고가변성, 고정확성

속물효과 스놉효과

  •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 다른 사람들이 사면 안 사는 것
  •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안 입는 것
  • 스마트계약

  • 일정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거래가 실행되도록 작성된 컴퓨터 프로토콜 또는 코드

워크아웃

  • 기업과 금융기관의 협의로 진행되는 재무구조 개선과정 및 결과를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

유리보 EURIBOR

  • EU 회원국이 국제 금융거래 시 기준으로 사용하는 공통 금리

유통시장

  • 이미 발행된 채권, 주식, 유가증권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매매되는 시장

자금관리서비스(CMS)공동망

  • 금융기관을 통해 대량의 출금 및 입금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CMS는 각종 사회단체, 학교 및 학원 등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용됨

자기자본비율

  • 자기자본/총자본
  • 표준 비율이 50% 이상이다

전자금융공동망

  •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등 전자금융서비스에 대한 중계업무를 처리함

전자화폐공동망

  • 금융기관간 정산금액 결제

정보계

  • 계정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거래 데이터에 대한 기록 및 기록의 통계를 관리함
  • 목적별로 전문 데이터를 관리하고 기업 전략을 위해 데이터들을 관리한다

중앙은행 여수신제도

  •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대출 및 예금

지니계수

  • 소득분배가 균등한지 아닌지 계수
  • 완전평등 대각선에서 로렌츠곡선의 면적을 구하여 직각삼각형과 비율로 계산됨

채널계

  • 대외계 시스템 및 다양한 비대면 채널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 모바일 뱅킹, 인터넷 뱅킹, 협업 단말기 데이터, 콜센터, 제휴 업체 등 다양한 접속채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관리한다

추심

  • 어음 수표소지인이 거래은행에 어음 수표대금 회수를 위임하고 동 위임 을 받은 거래은행은 어음 수표 발행점포 앞으로 동 대금의 지급을 요청하는 일련의 절차

코리보

  • 국내 은행들이 서로 자금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금리를 말함

파레토최적

  • 경제적 최적 상태라는 개념, 자원배분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상태라 개선의 여지가 없음
  • 재화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재화의 생산을 감소시켜야 하는 상태

피셔효과

  •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기대인플레이션의 합계와 같다

피용자보수

핀테크

  •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디지털 기술 혁신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획기적으로 효율화하거나 새 금융서비스를 출시함. 전통적(traditional) 핀테크와 신흥(emergent) 핀테크로 구분함

필립스곡선

  • 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반비례 관계

정리 못한 내용

고정금리

고정금리부채권

고정분류여신

고정이하여신비율

고정자본소모

고정환율제도/자유변동환율제도

고통지수

골디락스경제

공개시장운영

공공재

공급사용표 SUT

공급탄력성

공매도

관리변동환율제도

관리통화제도

교환사채 EB

교환성통화

구매력평가환율

구속성예금

구인배율

구제금융

구조적 이익률

국가경쟁력지수

국가신용등급

국가채무

국고금 실시간 전자이체

국고대리점

국고수표

국고전산망

국내공급물가지수

국내신용

국내총생산 GDP

국내총투자율

국민계정체계SNA

국민대차대조표

국민부담률

국민소득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국민처분가능소득

국민총소득 GNI

국부펀드

국외순수취경상이전

국외순수취요소소득

국외저축

국제결제은행BIS

국제금융시장

국제금융중심지

국제산업연관표

국제수지BOP

국제수지표

국제원유가격

국제통화기금 IMF

국제투자대조표 IIP

국제회계기준

국채

규모의 경제

규제 샌드박스

그린본드

그림자금융

근원인플레이션율

글로벌가치사슬 GVC

글로벌금융안전망

금리선물

금리스왑

금리자유화

금리평가이론

금본위제

금산분리

금융 하부구조

금융EDI

금융공황

금융사이클

금융시스템 상호연계성

금융안정

금융안정위원회 FSB

금융안정지수

금융연관비율 골드스미스비율

금융의 증권화

금융제도

금융중개지원대출제도

금융지주회사

금융채

금융통화위원회

금전신탁

기대인플레이션

기본자본

기업간B2B 지급결제시스템

기업경기실사지수

기업공개

기업어음

기저효과

기준금리

기준순환일

기준환율

기초가격

기축통화

기타기본자본

기펜재

기회비용

긴급수입제한조치

긴축정책

꼬리위험

낙수효과

낙인효과

난외거래

납부자자동이체

내국신용장

내부등급법

내부자금

노동생산성/노동생산성지수

노동소득분배율

녹색GDP

녹색기후기금 GCF

단기금융시장

단리/복리

단위노동비용

단일금리방식/복수금리방식

담보인정비율 LTV

당일결제/익일결제/익익일결제

대량지급

대손충당금적립비율

대외지급준비자산

대체비용리스크

대체재

대출금 출자전환

대출채권 분할매각

더블딥

도덕적 해이

도드-프랭크법

독점/과점

동남아시아국가연합 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한중일 ASEAN+3

동남아중앙은행기구 SEACEN

동아시아 외환위기

동아시아-태평양중앙은행기구 EMEAP

동일인 신용공여한도제 동일인 여신한도제

동일인/특수관계인

동태적 대손충당금 제도

동행종합지수

듀레이션

등록발행

대외의존도/수출입의존도/무역의존도

디레버리징

디스인플레이션

디커플링/커플링

디플레이션

레버러지 효과

레버리지비율

로렌츠곡선

로보어드바이저

만기수익률

매매보호 서비스 escrow

매몰비용

매입외환/환가료

머니마켓펀드 MMF

명목GDP목표제

명목국내총생산/실질국내총생산

명목금리/실질금리

명목소득/실질소득

모기지대출

모바일뱅킹

무역지수

물가안정목표제

물가지수

바젤은행감독위원회/바젤위원회 BCBS

발행시장

발행중지화폐/유통정지화폐

배당할인모형

미달러화 지수

미달러화페그제도

미발행화폐

비관측경제 NOE

비교우위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비트코인

뱅크런

법률리스크

변동금리부채권

보기화폐 견양화폐

보완자본 Tier 2

보호무역주의

복수통화바스켓제도

볼커룰

부가치

부가가치기준 무역 TiVA

부가가치유발계수/부가가치계수

부동화/무권화

부실채권정리기금

부채담보부증권 CDO

부채비율

북미자유무역협정 NAFTA

분리결제

분수효과

불완전경쟁시장

불태화정책

브레튼우즈체제

브렉시트

브릭스

빅맥지수

사이버리스크

사전담보제

사전적 정책방향 제시 forward guidance

4차 산업혁명

사회보장제도

사회보험

산업연관표 I/O Tables

삼불원칙

상계관세

상대적 빈곤율

상시감시제도/상시감시전담데스크

상장지수펀드

상품공동기금 CFC

상품수지

생산세

생산유발효과

생산자물가지수 PPI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생산자제품출하지수/생산자출하지수

생활물가지수

서비스수지

서킷브레이커

선물거래

선물환거래

선불카드/선불전자지급수단

선행종합지수

성장기여도

세계경제포럼 다보스포럼

세계무역기구 WTO

세계은행 World Bank

소득5분위배율

소득교역조건/소득교역조건지수

소득주도성장

소비의 비가역성

소비자동향지수 CSI

소비자물가지수 CPI

소비자심리지수

소액결제시스템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수요탄력성

수입유발계수

수입징수관/지출관

수출경합도지수

수출보험

수출입물가지수

수출입물량지수

수쿠크

수확체감의 법칙

순상품교역조건

순안정자금조달비율

순이자마진 NIM

순이체한도제

숨은 그림(은화)

슈퍼301조

스무딩오퍼레이션

스왑

스왑레이트

스태그플레이션

스탠더드 & 푸어스

스톡옵션

스트레스 테스트(위기상황분석)

시뇨리지

시스템 리스크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

  • 중요한 금융기관

시장리스크

시장평균환율제도

신용경색

신용레버리지

신용스프레드

신용연계증권 CLN

신용위험(신용 리스크)

신용창조

신용파생상품

신용평가제도

신용환산율

신 재생에너지

신주인수권부사채

신흥시장국채권지수

실망실업자

실물화폐/명목화폐

실업률

실업률갭

실질임금

실효환율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 AMRO

아시아개발은행 ADB

아시아인프라은행 AIIB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애그플레이션

양도성예금증서

양적완화정책

어음관리계좌 CMA

어음교환

업무지속계획

에너지바우처제도

엥겔의 법칙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여신전문금융회사

역모기지론

역선택

역외금융

역외펀드

연방준비제도 FRS/연방준비은행 FRB

연불수출

연쇄가중법

연지급수입

영업잉여

영향력계수

예금보험제도

예대금리차 예대마진

예대율

예상손실

예약자금이체제도

옵션

와타나베 부인

완충자본

외국환거래법

외국환업무취급기관/외국환은행

외국환평형기금

외국환포지션

외국환포지션한도

외부자금

외부효과

외채/대외채권

외화가득액/외화가득율

외화자금시장

외환건전성부담금제도

외환결제리스크

외환동시결제 PVP

외환보유액

외환스왑거래

외환시장

외환전산망

요소비용

요소비용 국민소득

우발부채 채무

우발전환사채 코코본드

운영리스크

워싱턴 컨센선스

원/위안 직거래시장

원금리스크

원금이자분리채권 STRIPS

위험가중자산/위험가중치

위험기준자기자본비율 RBC비율

유동비율

유동성

유동성 함정

유동성 딜레마

유동성리스크

유동성커버리지비율

유럽부흥개발은행 EBRD

유럽연합 EU

유럽중앙은행 ECB

유로달러 Euro dollar

유로마켓 Euro market

은선

은행경영공시제도

은행인수어음 BA

의중임금

이자보상배율

이전소득수지

이중통화채 dual currency bond

이표채

익스포저

인구고령화

인적자본

인터넷뱅킹

인터넷전문은행

인플레이션

일물일가의 법칙

일반특혜관세

일중RP제도

일중당좌대출제도

입금이체

자금순환표

자금조달비용지수 COFIX

자기띠 카드

자동안정화장치

자발적 실업

자본거래자유화

자본생산성

자본시장통합법

자본이동자유화규약

자본적정성

자본적지출

자산건전성 분류

자산유동화

자연독점

자연실업률

자유무혁협정 FTA

자유재

작업증명

잠상

잠재GDP성장률

잠재경제활동인구

장기금융시장 자본시장

장기침체

장내시장

장단기금리차

장외시장

재산소득

재정수지

재정정책

재정환율

저축률/총저축/평균소비성향/평균저축성향

적기시정조치제도

전방연쇄효과

전산업생산지수

전자금융

전자단기사채

전자상거래

전자서명

전자어음

전자정보교환제도

전자지급결제대행

전자화폐

전환사채 CB

정규직/비정규직

정보의 비대칭성

정부당좌예금계정

정부실패

정책시차

정크본드

제1차 통화조치

제2차 통화조치

제로금리정책

제조업생산능력/가동률지수

제조업평균가동률갭

조세부담률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죄수의 딜레마

주가수익비율 PER

주가연계증권 ELS

주가지수

주가지수선물거래

주가지수옵션

주당순이익 EPS

주식시장

주택저당증권 MBS

중간소비

중개무역

중앙거래당사자

중앙예탁기관 CSD

중앙은행

증거금

증권결제리스크

증권대금동시결제 DVP

지급

지급결제 및 시장인프라 위원회 BIS CPMI

지급결제시스템

지급결제제도 감시

지급수단

지급준비자산제도

지급준비제도

지방은행공동망

지수기준년

지역금융협정

지적소유권

지정시점처리제도

지주회사

직불카드

직불카드공동망

직접투자

진성어음/융통어음

집단대출

집중도 지수 HHI

차액결제선물환(NDF) 거래

차액결제시스템

차입매수 LBO

채권시가평가

채권시장

채권시장안정펀드

채무상환유예

청년실업률

청산

총고정자본형성

총부채상환비율 DTI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총산출

총수입스왑 Total Return Swap

총액결제시스템

최저임금제

최종대부자 기능

최종수요/중간수요

추가경정예산

추정손실

출구전략

출금이체

출자총액제한제도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CMI

치킨게임

캐리트레이드

커버드본드(이중상환청구부 채권)

컨트리리스크

콜시장

코리보

콜옵션

크라우드펀딩

타행환공동망

탄소배출권

테이퍼링

테일러 준칙 Taylor’s rule

텔레뱅킹 폰뱅킹

토빈세 Tobin tax

통상임금

통합발행제도

통화스왑

통화승수

통화안정계정

통화안정증권

통화옵션

통화유통속도

통화전쟁

통화정책

통화정책 운영체제 monetary policy regime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통화정책 파급경로

통화정책수단

통화정책체계

통화지표

투입계수

투자율

투자은행

트리핀 딜레마 Triffin’s dilemma

특별인출권 SDR

특수목적기구 SPV

파생금융상품

펀드

페더럴펀드

평가절상

평가절하

표면금리

풋옵션

프로젝트 파이낸싱

한계비용

한계소비성향

한계효용

한국은행

한시적 근로자

한은금융망

할당관세제도

합계출산율

헤지펀드

현금자동인출기(CD)공동망

현시비교우위지수 RCA

현지금융

현지법인

혼합형결제시스템

홀로그램

화폐교환

화폐발행/화폐발행액

화폐의 액면체계

화폐환수

환경계정

환경권

환리스크

환리스크헤지

환매조건부매매/RP/Repo

환어음

환율조작국

환전영업자 환전상

환차손/환차익

황금낙하산

회사채

회수의문

후방연쇄효과

후순위금융채

후행종합지수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Jekyll 블로그 팁, 나의 Github Blog 변천사

Jekyll 블로그 이미지 업로드 꿀팁(깃허브 블로그)